"... 사회적으로 사람을 인정하는 데 제일 쉽게 판단하는 기준이 그 사람의 소비생활입니다. 마을 공동체 안에서는 특별히 꾸미지 않아도 저 사람은 괜찮은 사람이라고 미리 다 알고 있으니까 관계가 없지만, 대중사회가 되면서 길에서 잠깐 스치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판단할 기준이 그것밖에 없어요. 자기의 삶이 얼마나 행복한가 하는 것은 스스로의 내면적인 느낌에서 결정되는 것입니다. ..."
(녹색평론 2008년 1-2월호 신년대담 '좋은 삶'이란 무엇인가 p.33)
누군가를 '괜찮은 사람'이라고 믿을 수 있는 배경에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소들이 개입할 것이다. '괜찮은 사람'이라고 믿는 것은 그이와의 관계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일시적인 꾸밈만으로 '괜찮은 사람'이라는 믿음을 주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잠시 그러한 환상을 갖게 만들 수 있을지는 몰라도.
'괜찮은 사람'이라고 미리 알고 있다는 것은 일정한 시간동안 직접적인 대면과 소통, 교감이 이뤄졌다는 것을 뜻한다. 작은 공동체일수록 좀더 건강한 믿음이 가능해진다.
누구나 잘 알고 있다. 길에서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멋지게 보여진다고 해서 자신이 행복해지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자신을 꾸미는 데 적지 않은 마음과 물질을 쓴다. 소비생활의 구조에서 벌어지는 인정투쟁은 더 많은 소비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나를 알아주기를 바라는 마음은 인지상정일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나의 소비보다는 관계와 대화, 공동의 작업을 통해서 나를 인정받는 것이 좋다. 그런데 쉽지 않다. 그런 방법은 매우 오랜 시간과 인내, 기다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욕심을 버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나는 여전히 욕심을 버리지 못한다. 그래서 자꾸 나를 꾸밀 수 있는 물질들에 관심을 기울인다.
욕심을 채우는 것보다 욕심 없이 사는 것이 훨씬 더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