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 민중의 고통은 어디에 있는가
movie

남한산성 : 민중의 고통은 어디에 있는가

영화 '남한산성'은 꽤 몰입도가 높다. 군더더기 없이 이야기를 끌고간다. 이병헌, 김윤석, 박해일, 박희순, 조우진 배우의 연기는 흠 잡기 어렵다. 우리가 익히 아는 병자호란 당시 조선 조정의 척화론과 주화론의 팽팽한 싸움이 이 영화의 큰 축이다. 전투씬은 영화적 재미를 위한 도구일 뿐이고 관객의 눈과 귀를 사로잡는 진짜 전투는 조선 조정 안에서 벌어지는 척화론과 주화론의 다툼이다.

영화 속에서 척화론을 주장하는 김상헌이나 주화론을 펼치는 최명길이나 누구의 편도 쉽게 들어줄 수 없다. 신념과 신념의 대결, 충심과 충심의 결투가, 고립된 남한산성의 조정에서 겨울 찬바람보다 더 매섭게 벌어진다. 이것은 다큐멘터리가 아니라 (각색된) 영화임을 감안한다면, 누가 옳고 누가 그른지 명쾌하게 결론낼 수 없는 논쟁은 꽤 훌륭한 볼거리다.

'남한산성'을 보면서 수백년이 지난 지금도 주변 패권국가들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우리의 현실이 오버랩되는 것은 어찌할 도리가 없다. 영화를 보는 내내 눈길을 사로잡는 것은 김상헌과 최명길의 한치 물러섬 없는 논쟁이다. 그러나 영화를 보고 나면 '민중에게 국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머리를 떠나지 않는다.

영화 초반 남한산성으로 들어가는 김상헌에게 얼어붙은 강의 길을 안내하는 노인은 조선 민중의 삶을 보여준다. 남한산성으로 피난하는 인조의 행렬을 안내했던 노인은 김상헌에게 그들로부터 쌀 한톨 받지 못했다고 말한다. 청군이 오면 그들에게도 길을 안내할 것이냐고 묻는 김상헌에게 노인은 그러면 쌀 한톨이라도 받지 않겠느냐고 답한다. 조선 민중에게 임금이든 청군이든 무슨 상관이었을까. 쌀 한톨 내어줄 생각조차 못하는 임금행렬에 무슨 기대가 있겠는가.

하지만 김상헌에게 궁핍한 백성의 삶보다 청군과의 결사항전이 더 중요한 일이었을까. 손녀와 함께 남한산성으로 들어가자는 권유를 거절하고 청군에게도 길을 안내해서 좁쌀이라도 받아보겠다는 노인을 김상헌은 단칼에 베고 그 피는 얼어붙은 강 위를 차갑게 물들인다. 이 영화에서 가장 강렬하고 의미심장한 장면이라는 게 내 생각이다. 서로 정반대의 편에 서 있지만 충심이라는 본질은 같은 두 인물과 그 사이에서 우유부단하는 인조의 모습, 임금의 눈치를 살피면서 내부 싸움에 골몰하는 조정의 한심한 모습 어디에도 조선 민중의 삶과 안위는 진지하게 다뤄지지 않는다. 척화론이든 주화론이든 결국 그들이 지키고자 한 것은 종사(종묘와 사직)이지 민중의 삶은 아니다.

전쟁은 결국 왕들이 일으키지만 그 고통은 당대를 살아가는 민중의 몫이고, 죽어나가는 이들도 결국 민중이다. 민중의 고통보다는 논쟁을 다루지만, 영화로서 '남한산성'은 추천할만 하다. 물론 역사를 소재로 삼기 때문에 태생적으로 논란의 여지는 있다. 잘 만들어진 영화에 푹 빠져 있다가 나오면 저절로 史實이 궁금해진다. 영화 '남한산성'에서는 볼 수 없는 다른 해석과 사실들을 통해 또다른 배움을 얻을 수 있으니. 아래 두 글을 추천한다.

 

죽고 강간당한 50만은 어디에…‘남한산성’이 거세한 것들

<남한산성> 역사 vs 영화